맨위로가기

이서구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서구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754년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그는 박지원의 제자로서 문장가로 이름을 알렸으며,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과 함께 한시 사대가로 불릴 만큼 시에 능했다. 1774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 암행어사, 동부승지, 좌승지, 전라도 관찰사, 형조참판, 이조참판, 형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1824년 우의정에 이르렀다. 저서로는 《척재집》, 《강산초집》 등이 있다.

2. 생애

이서구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 시인이다. 박지원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과 함께 한시(漢詩) 사대가로 불릴 정도로 뛰어난 시적 재능을 보였다.[1] 특히 5언 고시에 능했다.[1]

1754년(영조 31년) 한성부에서 선조의 아들 인흥군의 후손으로 태어나, 1774년(영조 50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정조의 신임을 받아 암행어사, 승정원 승지, 전라도 관찰사 등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1795년(정조 19년) 천주교도를 옹호한다는 혐의로 영해부에 유배되기도 했으나 곧 복직되어 성균관 대사성을 지냈다. 이후 《장릉지》, 《정조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순조 대에는 호조판서, 형조판서, 대사헌, 대호군 등을 역임하고, 1824년(순조 24년)에는 우의정에 올랐다. 1825년(순조 25년) 판중추부사로 재직 중 사망했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1]

2. 1. 출생 및 가계

이서구는 조선의 문신으로, 자는 낙서(洛瑞), 호는 척재(惕齋)·강산(薑山)·소완정(素玩亭)·석모산인(席帽山人)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박지원의 제자였다.

이서구는 조선 제14대 임금 선조의 열두째 아들 인흥군의 후손이다.

이서구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비고
고조부이곽(李漷)전평군(全平君)
증조부이완(李梡)밀양군(密陽君)
조부이언소(李彦熽)1706년 출생, 진사
조모풍양 조씨(豊壤 趙氏)조해수(趙海壽)의 딸
이원(李遠)1723년 출생, 문과 급제
평산 신씨(平山 申氏)신사관(申思觀)의 딸
계모진주 이씨(晉州 李氏)이한복(李漢復)의 딸
본인이서구
아내평산 신씨(平山 申氏)신경한(申景翰)의 딸


2. 2. 수학 및 교류

박지원에게 수학하였으며,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과 함께 한시(漢詩)의 4대가로 알려져 있다. 특히 5언 고시에 능했다.[1]

2. 3. 관직 생활

영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사관, 지평, 경상우도 암행어사 등을 지냈다. 1795년 정조 때 천주교도를 옹호한다는 죄로 영해부에 유배되었다가 성균관 대사성이 되었다. 이듬해 교정당상이 되어 왕명으로 《장릉지》를 편찬했으며, 1800년 순조 때 호조판서로 지실록사가 되어 《정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 후 형조판서, 대사헌, 대호군을 거쳐 우의정에 올랐으며, 판중추 부사로 재직 중 죽었다.[1]

이서구의 관직 생활은 다음과 같다.

연도관직
1774년 (영조 50년)문과(文科) 정시(庭試) 병과 제16인 급제
1786년 (정조 10년)홍문록(弘文錄)에 오름
1787년 (정조 11년)경상우도 암행어사
1787년 (정조 12년)정3품 승정원 동부승지
1788년 (정조 13년)승정원 좌승지
1793년 (정조 17년)종2품 전라도 관찰사
1796년 (정조 20년)종2품 형조 참판
1799년 (정조 23년)이조 참판
1800년 (정조 24년)정2품 형조 판서
1802년 (순조 2년)이조 판서
1824년 (순조 24년)정1품 의정부 우의정


2. 4. 사망

판중추부사 재직 중 사망하였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1]

3. 경력

이서구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관직
1774년(영조 50년)문과(文科) 정시(庭試) 병과 급제
1786년(정조 10년)홍문록(弘文錄)에 오름
1787년(정조 11년)경상우도 암행어사
1787년(정조 12년)정3품 승정원 동부승지
1788년(정조 13년)승정원 좌승지
1793년(정조 17년)종2품 전라도 관찰사
1796년(정조 20년)종2품 형조 참판
1799년(정조 23년)이조 참판
1800년(정조 24년)정2품 형조 판서
1802년(순조 2년)이조 판서
1824년(순조 24년)정1품 의정부 우의정


4. 가계

관계이름비고
고조부이곽(李漷)전평군(全平君)
증조부이완(李梡)밀양군(密陽君)
조부이언소(李彦熽|이언소중국어)1706년 ~ ?, 진사
조모풍양 조씨(豊壤 趙氏)조해수(趙海壽)의 따님
이원(李遠)1723년 ~ ?, 문과 급제
평산 신씨(平山 申氏)신사관(申思觀)의 따님
계모진주 이씨(晉州 李氏)이한복(李漢復)의 따님
본인이서구
아내평산 신씨(平山 申氏)신경한(申景翰)의 따님


5. 저서


  • 《척재집》 16권 7책
  • 《강산초집》 4권 1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